기하학적 치수 설정 및 공차 기법(GD&T)은 제품 설계와 제조에서 정밀도와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GD&T의 기본적인 표기법과 주요 용어를 자세히 설명하고, 실제 적용 예시와 함께 이해를 돕기 위해 표 형식을 포함하여 설명합니다.
기하공차의 표기 및 용어 설명
1. 기능 제어 프레임(Feature Control Frame)
기능 제어 프레임은 도면에서 공차의 종류와 크기, 그리고 해당 공차가 적용되는 데이텀을 표시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제품의 특정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데이텀 피처 기호(Datum Feature Symbol)
데이텀은 조립이나 측정 기준이 되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점, 축, 또는 평면을 나타냅니다. 데이텀 피처 기호는 이러한 기준점을 도면상에 명확히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3. 데이텀 타겟(Datum Target)
일부 복잡한 형태의 부품에서 일반적인 데이텀 설정이 어려울 때, 데이텀 타겟을 사용하여 특정 점, 선, 또는 면을 지정합니다. 이는 데이텀으로 활용되어 정밀한 조립이나 측정의 기준점 역할을 합니다.
GD&T 주요 용어 및 표기방법
용어 | 설명 | 예시 |
---|---|---|
공차 (Tolerance) | 부품의 치수가 변할 수 있는 허용 범위 | 축의 직경 ±0.01mm |
양측공차 (Bilateral tolerance) | 규정된 치수에서 양 방향으로 허용되는 공차 | 10mm ±0.2mm |
편측공차 (Unilateral tolerance) | 한 방향으로만 공차가 적용되는 경우 | 50mm +0.0mm/-0.5mm |
기하공차 (Geometric Tolerance) | 형상, 윤곽, 방향, 위치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차 | 평행도, 직각도, 위치도 등 |
데이텀 (Datum) | 조립이나 측정의 기준이 되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점, 축, 또는 평면 | 특정 기계 부품의 평면 |
재료조건 (Material Condition) | 부품의 치수가 최대 또는 최소 재료 상태를 갖는 조건 | 최대 재료조건(MMC), 최소 재료조건(LMC) |